도입 배경 1) 교사들이 학교 폭력 조사까지 담당하면서, 주된 업무인 수업 및 학생들의 생활지도에 포커스를 맞추기 어려움 2) 학폭 조사 관련 악성 민원 및 일부 학부모의 협박 등으로 교사들의 이성적/감정적 스트레스 지수 증가 → 학교폭력 업무를 교사가 아닌 외부 전문가가 담당할 필요성 증가 도입 목표 1) 학교폭력 사안 처리 제도를 전반적으로 개선하여 학생과 학부모의 신뢰도 제고 2) 교사들은 학교폭력 처리라는 과중한 부담에서 벗어나, 본연의 기능인 교육적 역할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함. *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 간의 관계 개선 및 회복, 피해 학생/가해 학생의 지도, 피해 학생의 지원 등 도입 주요 내용 1. 조사는 교사가 아닌 '학교폭력 전담 조사관'이 전담 : 교육지원청에서 근무하는 약 2천7백 ..
카테고리 없음
2024. 2. 18. 14:14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gtx 요금
- 정월대보름#정월대보름음식#정월대보름놀이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 청년 청약통장
- GTX-A
- 오재원 마약
- GRVT 초대
- 모스크바 테러 사망자
- GRVT 에어드랍
- 비트코인 시세
- 임대차3법 헌법재판소
- 임대차 3법
- GRVT
- gtx
- 서이초 교사 순직
- 아산 새마을금고 강도
-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
- GTX 할인
- 이낙연 이준석 결별
- 임대차3법 전월세상한제
- 오재원 마약 긴급체포
- 모스크바 테러
- 임대차3법 계약갱신청구권
- 신사동호랭이 사망#신사동호랭이 추모
- 오재원
- 모스크바 테러 IS
- 임대차3법 합헌
- 비트코인 1억
- 비트코인 전망
- GTX 개통
- 아산 새마을금고 검거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