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부가 제안했던 복귀 시한(2/29일)까지 복귀한 전공의는 566명으로 파악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보건복지부에서 밝혔던 총 이탈 전공의 숫자(8945명)에 비하면

10%도 못 미치는 수치라, 현장에서도 큰 체감을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네요,,

 

복귀 시한을 넘긴 금일(1일),

보건복지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연락이 닿지 않은 전공의 13명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을 공시 송달하였으며,

현장 미복귀 전공의에 대한 면허자격 정지 등의 해임처분 및 고발과 같은

사법처리를 예고한 상황입니다.

 

또한 보건복지부는 의사협회를 고발하여

금일 서울경찰청에서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하고

의협 전/현직 간부들의 휴대폰 PC를 압수하는 등

갈등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용산구 의사협회 회관 진입. 출처  연합뉴스

 

이러한 정부의 강경 대책에도 전공의들의 복귀율이 낮은 것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원인들이 꼽히고 있습니다.

 

■ 면허 정지 처분시 의료 공백 대체 방안 부재

■ 정지 처분을 받은 경우라도 1년이 경과하면 복귀 가능

■ 취소 처분을 받아도, 형기 만료 후 교육 프로그램 이수시 면허 재교부 가능 

 

현재 병원에 남아 있는 의료진들은 극도의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으며,

진료 및 수술을 제때 받지 못한 환자들의 불만과 피해사례도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30116463095944

 

"아기 유산" "투석 중 수술 못해 사망"…'의료대란' 환자 피해 보니 - 머니투데이

'의료대란' 환자 피해 접수 800건 육박전공의들의 집단행동으로 의료공백이 지속되면서 정부에 환자 피해 신고가 800건 가까이 들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아기 유산, 수술 지연으로 사망 등의 피해

news.mt.co.kr

 

정부와 의료단체의 대승적 합의로 조속히 진료 정상화가 이루어지길 바랍니다.